Tuist 로 개발을 하려면 몇가지 설정을 해야 하는데 실제 개발 폰으로 앱을 빌드하려면 Team Id 를 설정해야 합니다. 하지만 매번 generate 할 때마다 Team ID 가 None 으로 변경되면 Tuist 를 꼭 써야 하나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이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Tuist 의 Project.swift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ject의 프로퍼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그중에 settings 속성을 변경해야 합니다.PropertiesnameorganizationNameclassPrefixoptionspackagestargetsschemessettingsfileHeaderTemplateadditionalFilesresourceSynthesizerscontainsExternalDep..
idleTimerDisabled 아이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증권 앱이나 게임 화면의 경우 idleTimerDisabled 옵션을 true로 변환해서 화면이 계속 켜져 있도록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저전력 모드나 절전 모드를 활용하는 사용자에게 해당 옵션을 줄 경우 앱이 계속 켜져 있기 때문에 대기 모드나 화면 절전모드로 넘어가지 않습니다. ▼ 다음은 아이폰의 디스플레이 및 밝기 설정의 자동 잠금 옵션입니다. 만약 idleTimerDisabled를 true로 한다면 자동잠금을 안 함으로 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이 idleTimerDisabled 옵션을 단순히 true 로 하고 AppDelegate에서 실행하면 해당 앱은 홈 버튼을 눌러서 종료하지 않는 이상 꺼지지 않습니다..
인텔리제이 줄 번호 다양한 IDE 개발툴을 사용하다보면 줄 번호를 표시하는게 개발 작업시 훨씬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사람들과 개발 하는 경우에도 줄 번호가 있어야 해당 위치를 확인하고 서로 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줄 번호를 끄거나 킬때 설정에서 옵션을 주어야 하는데 찾기 어려운 분을 위해서 블로그 글을 남깁니다. ▼ IntelliJ IDEA 툴에서 Settings... 메뉴를 선택합니다. 윈도우의 경우 File > Settings 입니다. ▼ 다음으로 Editor > Appearance 메뉴를 선택합니다. 해당 메뉴 옵션중에 Show line numbers의 체크박스를 활성화 합니다. ▼ 줄 번호가 잘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처음에 Setting > Appearance 에서 설정..
인텔리제이 (IntelliJ IDEA) 마우스 휠 폰트 변경 평소에 Xcode를 많이 사용하는데 Xcode의 경우 작업 중에 쉽게 폰트 사이즈를 늘렸다가 줄였다가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텔리제이(IntelliJ IDEA)의 경우 설정에서 기본 폰트 사이즈를 수정할 수 있지만 마우스나 키보드 단축키로 쉽게 폰트사이즈를 조절하는 방법을 몰랐습니다. 하지만 손쉽게 폰트 사이즈를 늘렸다 줄였다 할 수 있고 쉽게 초기화할 수 있는 방법이 있어 소개해드립니다. 마치 크롬 브라우저의 폰트 사이즈를 변경하는 것만큼이나 편리합니다. ▼ 우선 인텔리제이의 설정창을 열어줍니다. 단축키로 Command + , 단축키를 누르면 설정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Editor > General 메뉴에서 Change font..
맥에는 VS Code, Atom 기타 훌륭한 에디터가 있지만 가끔 리눅스에서 처럼 vim을 사용할 순간이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리눅스나 맥에 vim을 설치하면 탭이 스페이스 공백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그냥 탭으로 동작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vimrc 파일을 수정해서 파일을 수정해줍니다. 보통 개인 PC 일 경우에는 복잡한 vimrc 설정을 할 수 있겠지만 단순하게 꼭 필요한 설정만 해보겠습니다. ▼ 이렇게 설정하면 탭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없습니다. smartindent : 들여쓰기 설정 tabstop : 탭 4칸 설정 expandtab : 탭 대신 스페이스로 설정 shiftwidth : 자동 들여쓰기를 4칸으로 설정 ▼ 다음은 좀 더 자세한 vimrc 옵션들입니다. . vimrc는 숨김 파일이며..
안드로이드 앱은 다양한 요소가 결합되어 만들어집니다. 그중에 UI에 관련된 액티비티, 프래그먼트 등이 있고 인텐트와 액티비티를 이용해 독립적으로 실행 가능한 모듈을 생성해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제공자를 구현해 앱 간 데이터 공유도 가능하다. 서비스와 브로드캐스트 수신자를 통해서 백그라운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매니페스트 파일을 통해서 앱 구성을 정의할 수 있고 앱 리소스와 매니페스트 설정을 통해서 앱 컨텍스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안드로이드 액티비티 안드로이드 앱은 액티비티라는 컴포넌트가 하나 이상 반드시 결합되어 생성됩니다. 액티비티란 안드로이드 앱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이며 앱의 기능을 갖는 단일의 독립 실행 모듈입니다. 액티비티는 안드로이드 Activity 클래스의 서브 클래스로 ..
스프링 부트란? 스프링부트(Spring Boot)는 자바 기반의 웹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인 스프링(Spring) 프레임워크 프로젝트를 좀 더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웹 개발자가 아니라면 이전에는 스프링을 배우기가 굉장히 까다로웠습니다. 사실 자바 개발자들의 편의를 위해서 나온 프레임워크이긴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기능과 설정들이 더해지면서 일반 개발자들이 접근하기는 러닝 커브가 꽤 있는 편이었죠. 하지만 지금은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로 인해서 많은 사람들이 스프링 부트로 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왜 스프링 부트인가? 국내 대부분의 대형 백엔드 프로젝트는 스프링(Spring)을 사용합니다.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나 파이썬(Python) 또는 루비(Ru..
IntelliJ 자동 import 인텔리제이에는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그중에 코드 완성이 정말 잘돼서 편리하죠. 아직 임포트 하지 않은 패키지가 있다면 엔터만 입력하면 자동으로 import 됩니다. 하지만 너무 과해서 필요 없는 패키지의 import를 유도할 때도 많습니다. 설정에서 간단히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과 같이 자동완성이 될 때 현재 필요하지 않은 패키지 라이브러리가 자동 완성되지 않기를 원할 때가 있습니다. ▼ File(파일) -> Settings(설정) 메뉴로 이동합니다. ▼ Editor -> General -> Auto Import 메뉴로 이동합니다.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 버튼을 눌러 새로운 조건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 조건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보통 패키지를 선..
Unresolved database references in annotations 설정 ▼ 인텔리제이(IntelliJ)를 사용해서 JPA를 쓰다보면 다음과 같이 Column 이나 테이블 명을 변경할 경우 텍스트에 경고표시를 볼 수 있습니다. 그냥 사용해도 빌드도 되고 문제는 없지만 조금 보기 좋게 출력하기 위해서 설정을 변경해 줄 수 있습니다. ▼ 다음과 같은 경로로 해당 옵션을 꺼줍니다. File > Settings > Editor > Inspections > JPA > Unresolved database reference in annotations ▼ 이렇게 옵션을 꺼주면 다음과 같이 해당 테이블 명이 녹색으로 잘 표시됩니다. 아주 간단한 것이지만 테이블 이름을 똑같이 쓰지 않을 경우 경고가 뜨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