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볼륨의 종류 ▼ 1. 익명 볼륨(Anonymous Volume)명시적 이름이 없이 도커가 자체적으로 이름을 만들어서 생성합니다. 컨테이너 삭제시 볼륨도 함께 사라집니다. 컨테이너를 실행할 때만 필요한 임시 데이터라면 익명 볼륨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2. 명시적 볼륨 (Managed Volume)도커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볼륨으로 컨테이너가 삭제되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때문에 컨테이너끼리 쉽게 공유가 가능합니다. 운영 환경에서 데이터의 영속성을 원한다면 명시적 볼륨을 사용합니다. 또한 익명의 볼륨과 달리 DockerFile 에서 생성이 불가능합니다. -v 옵션으로만 생성이 가능하고 특정 컨테이너와 연결되어 있지 않습니다. 때문에 컨테이너 간의 공유가 가능합니다. ..
systemctl 우분투를 Docker 컨테이너로 만들어서 사용하면 몇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불편한 것은 systemctl 명령이 동작하지 않는 점인데요. 매번 설치해주는 것 보다 Dockerfile을 만들고 이미지를 만들어 놓고 사용하는것이 편리합니다. ▼ Docker 파일 생성 ▼ Docker 빌드 ▼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접속합니다.
MySQL 설치 도커에서 컨테이너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MYSQL_ROOT_PASSWORD 라는 비밀번호 옵션을 주어야 합니다. 뿐만아니라 도커에서 특정 컨테이너를 만들었다가 삭제하면 데이터를 유지할 수 없게되는데 그럼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하기 힘들게됩니다. 때문에 사용자 운영체제에 마운트 하거나 볼륨을 고정적으로 만들고 관리해줘야 합니다. ▼ 도커 pull 명령어로 새로운 MySQL 이미지를 받아옵니다. ▼ 도커 run 명령어로 새로운 컨테이너를 만듭니다. --name 옵션으로 이름을 지정하고 -e 옵션을 주어서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 만약 볼륨을 설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v 옵션을 주고 컨테이너를 생성합니다. ▼ 이제 도커의 ps 명령을 통해 mysql 컨테이너가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