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 설치기존에 쓰던 애플실리콘에서는 문제없이 잘되던 도커 설치가 인텔 맥에서는 정상동작하지 않아 다른 방법을 찾던 중 brew 로 설치하는 방법이 있어서 소개합니다. --cask 옵션은 Homebrew Cask를 사용하여 GUI 애플리케이션 및 바이너리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brew install :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도구 (git, node, python...)brew install --cask : GUI 앱이나 바이너리 패키지 (docer, google-chrome, slack...) ▼ 1. brew 명령어로 도커를 설치합니다. 도커 버전 확인 ▼ 1. 도커 버전을 확인합니다. ▼ 1.도커 컴포즈 버전도 확인합니다. 테스트 이미지 실행 ▼ 1.테스트를 위..
버전 표기법 /* 숫자 표기법 (예: 1.0, 2.3.1): 이 방법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기법입니다. 버전 번호는 일련의 숫자로 표시되며, 점으로 구분된 여러 섹션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주요 버전, 부 버전, 패치 레벨 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주요 버전은 대규모 변경 사항이 있을 때 증가하고, 부 버전은 중간 크기의 변경 사항이 있을 때 증가하며, 패치 레벨은 버그 수정과 같은 작은 변경 사항이 있을 때 증가합니다. 알파벳 표기법 (예: 1.0a, 2.3.1b): 이 방법은 주로 개발 초기에 사용되는 표기법입니다. 알파벳은 개발 단계를 나타내며, 주로 'a' (알파), 'b' (베타), 'rc' (릴리즈 후보) 등으로 표시됩니다. 알파 버전은 초기 개발 단계에서 사용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