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앱 프로세스 안드로이드 앱은 프로세스로 실행되며 액티비티나 서비스 및 브로드캐스트 수신자 형태의 여러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 모바일이라는 제한적인 환경에서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특히 앱이 실행되는 프로새스와 앱을 구성하는 모든 컴포넌트의 생명주기를 잘 알고 관리해야 하며 앱과 액티비티 생명주기를 반드시 이해해야만 효율적인 앱을 만들 수 있고 앱이 실행하는 동안 다양한 상태와 이벤트에 맞춰서 프로그래밍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우선순위 안드로이드 앱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의 별개의 프로세스에서 독립적으로 실행됩니다. 때문에 만약 독립적인 안드로이드 앱이 메모리 한계에 다다를 경우 안드로이드 시스템은 메모리 확보를 위해서 해당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는 방법을 취합니다. 메모리 확..
저번 강좌에서 안드로이드 Jetpack 네비게이션 컨트롤러를 만들고 환경을 구성했었는데요. 이어 이번 시간에는 네비게이션 컨트롤러를 만들기 위한 디자인 작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디자인이 됩니다. 사실 디자인이라고 보기는 어렵고 그냥 화면 구성이죠. 3개의 프레그먼트(Fragment)를 만들고 첫 번째 페이지는 메인 프레그먼트로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만 있습니다. 두 번째 페이지는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거나 뒤로 이동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때는 번들을 통해서 특정 값을 전달하는 내용도 포함됩니다. 세 번째 페이지는 다시 메인 프레그먼트 페이지로 이동하는 기능만 있으며 두 번째 페이지에서 전달받은 값으로 버튼의 텍스트를 변경합니다. 프레그먼트 생성 ▼ 새로운..
Google I/O 2018에서 발표한 안드로이드 Jecpack의 내비게이션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OS 개발의 네비게이션 컨트롤러와 비슷하며 프래그먼트를 사용해서 오히려 iOS 보다 더욱 편리하게 이동이 가능해보입니다. iOS의 경우 특정 뷰 컨트롤러에 네비게이션 컨트롤러를 만들고 RootViewController로 설정해줘야 해서 객체가 하나 늘어나는 반면 안드로이드의 Jetpack 네비게이션의 경우 아주 간단히 프레그먼트들을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Navigation Components는 Jetpack의 Architecture에 속하는 라이브러리 중 하나이며, 오늘은 간단히 여러 프레그먼트의 네비게이션을 연결하고 이동하기 위한 Jetpack 설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